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는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고, 새롭게 패키지를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각종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의 문제 또한 걱정할 필요가 없다. 만든 컨테이너를 다른 서버로 그대로 옮겨다 놓으면 환경, 모듈 등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환경설정도 필요하지 않다.
도커 컨테이너들은 HostOS로부터 GuestOS로 물리적 리소스를 1/n로 나누어 할당받는 것이 아닌 HostOS의 리소스를 다이렉트로 접근해 모든 컨테이너가 공유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가상화 방법에 비해 속도가 매우 빠르고 효율적이다.
도커는 Layered File System 기반이다. 마치 포토샵처럼 레이어 단위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하며, 이 컨테이너들은 서버 위에서 각각 하나의 프로세스처럼 작동하지만 컨테이너 자신은 스스로가 운영체제인 것처럼 생각한다.
각 도커 컨테이너는 서로 간에 절대적으로 격리(Isolated)되어 있어 한 컨테이너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컨테이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Registry, Images, Containers, Commands and Daemon in Docker
Public과 Private Registry 중 Public Repository를 Docker Hub라고 부르며, Docker Hub에서 이미지를 올리는 것을 Push, 이미지를 받아 오는 것을 Pull이라고 한다. Pull한 이미지는 /var/lib/docker/overlay2에 저장된다.
Build는 직접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데 여러가지 베이스 환경을 설정해서 이미지 파일을 만든 후에 Run을 하여 프로세스에 올려 컨테이너로 만들거나 Docker Hub로 Push 할 수 있다.
Run은 이미지를 실행하는 명령어인데 이미지가 없을 경우 Pull로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를 받아온 후 Run, Start까지 한다. Run을 하게 되면 최대 3가지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미지가 비로소 컨테이너가 되고 프로세스에 올라가게 된다.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를 Commit해서 현 상태를 이미지로 만들어 Docker Hub로 Push 할 수 있다.
메모리에 올라간 컨테이너를 Kill하면 컨테이너의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메모리에 올라가면 컨테이너(read/write), 올라가지 않은 상태면 이미지(read only)이다.
이 모든 것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dockerd(Docker Daemon)이라고 한다.